한미 금리차·가계빚 늘어나도 경기 우려가 '발등에 불'
4번 묶인 기준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려워...'사면초가'
4번 묶인 기준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려워...'사면초가'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한국은행이 지난 2월과 4월, 5월, 7월에 이어 오는 내일(24일)에도 기준금리를 현 3.50%에서 동결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2%p까지 벌어진 미국과의 금리 격차, 원·달러 환율 상승세, 다시 불어나는 가계대출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를 올려도 무방할 것 같지만, 최근 중국발(發)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한국은행이 추가 인상을 단행하기 어려워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결정할 예정이다. 중국과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커져 우리나라의 하반기 경기 회복도 불투명한 가운데 한은이 소비와 투자 위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을 감수하면서까지 환율·물가·가계부채 등을 명분으로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는 논리다. 박정우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유가 상승과 원화 약세 등이 물가의 상방 리스크(위험)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국내 경기 회복이 아직 가시화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며 "특히 중국발 금융 리스크가 불거지면서 경기 하방 위험도 더 커졌다"고 밝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도 "우리나라 실물 경제 상황이 나쁘고 중국 시장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환율이나 가계부채를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의 효과는 단기에 그쳐 실익이 없는 반면 부작용은 더 클 것"이라며 "금리를 올리면 부동산 PF에서 문제가 터지거나 내수와 수출이 다 죽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역시 "한은이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딜레마 상황이 이어져 이달뿐 아니라 상당 기간 기준금리는 동결될 것"이라며 "하반기에도 수출 부진, 내수 회복세 둔화, 건설경기 악화가 지속되고 정부는 재정지출 확대에 신중한 입장이라 성장률이 높아질 요인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한은 금통위원들이 기준금리를 쉽게 올리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반면 김동헌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유일하게 0.25%p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