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 압박 돈 못 버는 저축銀 ‘열외’
상태바
상생금융 압박 돈 못 버는 저축銀 ‘열외’
  • 서효문 기자
  • 승인 2024.01.21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존 위기 저축은행 향해 상생 대신 규제 완화 조치
생존이 시급한 저축은행들이 금융당국의 거센 상생금융 압박을 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서효문 기자  |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생존’이 시급한 저축은행은 해당 화살을 피하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작년 말부터 시작된 금융당국과의 릴레이 회동에서 저축은행은 빠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0일 금융지주 회장단 만남을 시작으로 은행장,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단을 만나 상생금융을 주문했다.
올해 들어서는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여신전문회사 CEO를 만났고, 오는 24일에는 증권사 CEO들과의 간담회를 연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과의 회동을 아직 하지 않은 이유는 고금리 장기화 여파에 따른 이자비용 급증, 고정이하여신비율(NPL) 금감원 권고치(8%) 돌파 저축은행 전체 30% 돌파 등 ‘생존’이 시급한 상황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감원 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체 저축은행 79개 증 NPL비율이 금감원 권고치를 돌파하는 곳은 25곳이다. 전체 31%가 금감원 권고치보다 높은 NPL비율을 보이는 것. 10% 이상 NPL비율을 기록하는 곳도 9곳에 달한다. 여·수신 역시 한 달간 최대 2조원 가량 급감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서울지역 저축은행 총 여·수신은 각각 63조6418억원, 64조8406억원이다. 전월(64조9411억원, 66조6418억원) 대비 1조2696억원, 1조8012억원 줄었다.  서울지역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상생금융이 금융권을 휩쓸고 있지만, 고금리 여파에 따른 저축은행의 실적 부진으로 해당 사항을 수행하기 어렵다”“고금리 여파는 현재 저축은행들의 조달비용 부담을 높였고, 최근 비대면 환승시장 개막과, 신용 사면은 저축은행들의 고객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져 ‘생존’이 시급한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의 어려움을 고려해 규제 완화 조치를 최대 6개월 연장할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권에 따르면 당국은 지난달 28일 저축은행 업계에 △예대율(예금잔액 대비 대출잔액) 규제 △자산건전성 분류 △업종별 여신한도 등 3건의 규제 완화 조치를 연장하겠다는 의견서를 보냈다. 저축은행 예대율 완화 조치는 오는 6월 말, 자산건전성 분류와 여신한도 완화 조치는 오는 3월까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