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당 노동생산성, 'OECD 최하위권'… "향상 방안 시급"
매일일보 = 최재원 기자 | 신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수출 산업의 생산성과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외교적 차원의 무역 협상도 중요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역량 강화가 더 시급하다는 취지다.
신상호 한국은행 국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과 장용준 경희대 무역학과 교수는 12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해외 무역기술장벽(TBT)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을 도출했다. 무역기술장벽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관세조치로, 상대국 고유의 기술 규제, 표준, 적합성 평가 절차 등이 무역에 방해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신 부연구위원과 장 교수는 지난 2015∼2019년 26개 주요 수출 대상국의 무역기술장벽이 국내 제조업 중 7개 산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7개 산업은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섬유 및 가죽제품 제조업 △목재‧종이‧인쇄 및 복제업 △석탄 및 석유‧화학제품 제조업 △비금속광물 및 금속제품 제조업 △전기‧전자‧정밀기계 제조업 △운송장비 및 기타 제품 제조업 등이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