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사업전환을 완료했거나 추진하고 있는 250개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중소기업의 사업전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사업전환 후 해당 사업의 순이익 발생 시점은 ‘6월~1년 이내’가 43.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2년 이내’(27.8%), ‘6월 이내’(20.2%), ‘3~4년 이내’(8.1%), ‘4년 초과’(0.5%) 순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들이 사업을 전환하려는 이유로는 ‘새로운 수익원 창출’(65.7%)이 가장 많았고, ‘기존 업종의 불투명한 성장 가능성’(16.1%), ‘기존 생산제품의 수익성 악화’(12.7%) 등을 꼽았다.
사업전환 형태로는 ‘기존 업종을 유지하며, 새로운 업종을 추가하는 식’이 53.8%로 가장 많았고, ‘기존 업종 내에서 새로운 품목을 추가’는 36.5%로 나타났다. 이어 ‘기존 업종 축소, 새로운 업종 추가’와 ‘기존 업종 폐지, 새로운 업종으로 전면 전환’은 각각 5.6%, 4.1%로 조사됐다.
사업 전환시 최대 애로사항은 ‘자금조달’(41.1%)이었다. 다음으로 ‘새로운 거래선 및 판로 확보’(26.9%), ‘전환분야 기술 및 인력 확보’(14.6%), ‘사업타당성, 시장분석 등 유망분야 찾기’(7.1%) 등이 꼽혔다.
중소기업의 사업전환은 고용창출에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기업들의 54.5%는 ‘사업전환에 따른 고용창출 효과가 클 것’이라고 답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8.9%였으며, ‘작을 것’이라는 응답은 6.6%에 불과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59.7%)이 서비스업(40.7%)보다 ‘고용창출 효과가 클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원활한 사업전환을 위해 정부가 지원해야 할 정책으로는 ‘신용대출 등 금융지원 확대’가 54.9%로 가장 많았고, ‘기술·판로 등 정보제공 확대’(18.1%), ‘세제지원 확대’(15.2%), ‘컨설팅지원 확대’(7.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사업전환은 경제환경의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수익원 창출 등 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정부에서도 중소기업의 사업전환을 지원하고 있지만, 사업전환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정책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