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 잠재 위험요인은 중국·기업부실·가계부채
상태바
국내 금융 잠재 위험요인은 중국·기업부실·가계부채
  • 김서온 기자
  • 승인 2016.05.23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험 발생 가능성 커… 국내 기업 수익성 악화도 한 몫
금융전문가들이 생각하는 국내 금융시스템의 잠재 위험요인. 연합뉴스
[매일일보 김서온 기자] 금융전문가들이 국내 금융시스템의 잠재 위험요인으로 ‘중국 경기둔화’와 ‘기업 부실위험 증가’, ‘가계부채’, ‘저성장·저물가 고착화’ 등을 손꼽았다.

또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위험이 현실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앞으로 1∼3년 이내엔 발생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국은행은 지난 4월 6일부터 20일까지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국내 금융시스템의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중국 경기 둔화’라는 응답이 73%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기업 부실위험 증가’, ‘가계부채’,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가 각각 59%, 54%, 51%를 기록했다.

이중 ‘저성장·저물가 기조 고착화’와 ‘기업 부실위험 증가’는 발생 가능성이 컸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가계부채’와 ‘중국 경기둔화’, ‘기업 부실위험 증가’ 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 부실위험 증가’라는 응답은 59%에 달해 지난해 10월 조사된 32%에 비해 2배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급증했다.

이는 장기 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으로 인해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최근 조선·해운 등 불황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추진 중인 점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관별로 보면 국내 은행 직원은 ‘중국 경기 둔화’ 80%, ‘기업 부실위험 증가’ 75%를 주요 위험요인으로 꼽았지만 비은행 금융기관 직원은 ‘가계부채’ 88%와 ‘기업 부실위험 증가’ 75%라고 답했다.

앞으로 1년 내의 단기에 금융시스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49%로, ‘높다’ 15%보다 많았다.

반면 1∼3년의 중기에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다’는 응답이 40%로 ‘낮다’는 응답 19%보다 많았다.

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 신뢰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3%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높다’는 33%, ‘낮다’는 14%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