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랑스러운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실록"
상태바
자랑스러운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실록"
  • 김종혁 기자
  • 승인 2016.06.20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72년 간 살아있는 역사 6400만자의 방대한 기록물
총 1893권 888책, 세계에 유례 없는 백과전서적 기록물
조선왕조실록표지 사진=문화재청제공
[매일일보 김종혁 기자]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시조인 태조로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책으로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 있는 오래되고 방대한 양의 역사서이자 살아있는 기록이다.조선왕조실록은 조선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제도, 법률, 경제, 산업, 교통, 통신, 사회, 풍속, 미술, 공예, 종교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없는 귀중한 사료이다.
또한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기술에 있어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은 사실기록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조선왕조실록의 기초자료 작성에서 실제 편술까지의 편수 간행작업을 직접하였던 사관은 관직으로서의 독립성과 기술에 대한 비밀성을 역대에 걸쳐 제도적으로 보장받았다.실록의 편찬은 다음 국왕이 왕위에 오른 후 실록청을 개설하고 관계관을 배치하여 편찬하였으며 사초는 군주라해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비밀을 보장함으로써  실록의 진실성과 신빙성을 확보하였다.
조선왕조실록 보관서고 사진=문화재청 제공
실록이 완성된 후에는 특별히 설치한 사고(史庫)에 각각 1부씩 보관하였는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사고의 실록들이 병화에 소실되기도 하였으나 그때마다 재출간하거나 보수하여 20세기초까지 정족산, 태백산, 적상산, 오대산등  네곳에 각각 1부씩 보관하여 전해져 왔다.정족산, 태백산 사고의 실록은 1910년 일제가 당시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하였다가 광복 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그대로 소장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오대산 사고의 실록은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관동대지진으로 소실되어 현재 27책만 남아 있고 적상산본은 구황궁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북한이 가져가 현재 김일성종합대학에 소장되어 있다.1984년 이후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함께 보관되어 있던 조선왕조실록 정족산본 및 태백산본을 분리하여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조선왕조실록은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을 포함해서 총 2077책이 일괄적으로 국보 제 15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실록편찬시 이용되는 자료는정부 기관에서의 보고 문서 등을 정리해 둔 춘추관시정기, 전왕 재위시의 사관들이 작성해 둔 사초(史草), 승정원일기, 의정부등재, 일성록 등 정부 주요기관의 기록과 개인의 문집 등이었다.특히 사초는 사관들이 국가의 모든 회의에 빠짐없이 참가하여 왕과 신하들이 국사를 논의, 처리하는 것을 사실대로 기록하는 동시에 그 잘잘못 및 인물에 대한 비평, 그리고 기밀사무 등을 가감 없이 직필(直筆) 하였다.조선시대에는 사법(史法)이 매우 엄하여 사관이외에는 아무도 볼수가 없었으며, 기록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왕까지도 보지 못하게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의 세계적 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

첫째, 조선왕조실록은 25대에 걸친  군주의 실록이며, 472년간의 역사를 수록한 것이기에 한 왕조의 역사적 기록으로 세계에서도 장구한 세월에 걸친 역사적 유물이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중국의 대청역조실록(大淸歷朝實錄)도 실은 296년간에 걸친 실록에 불과하다.

둘째, 조선왕조실록은 풍부한 내용을 담은 세계적인 역사서이다.지금까지 남아있는 동북아시아 역사기록물로는 일본의 삼대실록(第三代實錄)과 남원조(南院朝)의 대남실록(大南實錄) 548권이 전해져 오고있다.중국의 황명실록(皇明實錄)은 2,964권으로 비록 분량은 많으나 권수만 많고 기록내용은 간략하다. 기록 내용으로만 비교해도 조선왕조실록이 총 6,400만 자인데 비해 황명실록은 총 1,600만자에 지나지 않는다.

셋째로, 조선왕조실록은 내용이 다양하여 가히 백과전서적 실록으로 평가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기록당시의 정치, 외교, 사회, 경제, 학예, 종교 생활로부터 천문, 지리, 음악, 과학적 사실 및 자연재해나 천문현상과 동북아시아의 외교적 관계가 빠짐없이 수록되어 있는 종합사서요, 국왕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의 생활기록이 담겨져 있는 장대한 민족문화서로 인정되고있다.

넷째,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기술에 있어 매우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은 역사 기록물이다.
조선왕조 실록의 기초자료 작성에서 편술까지 담당했던 사관은 관직으로서의 독립성과 기술(記述)에 대한 비밀성을 보장받던 전문관료였다.

당시 사관의 기록은 군주라해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었고 비밀이 보장되는 제도가  실록의 진실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였다.

다섯째로, 활자로 인쇄 간행된 조선왕조실록은 한국 인쇄문화의 전통과 높은 문화수준을 보여주는 역사서인 것이다.
조선은 세계적으로 금속활자를 가장 앞서 실용한 고려시대의 전통을 이어, 활자개량에 힘쓰고, 각종 도서를 간행해 온 전통이 있었다.  

(매일일보 2016년 6월 18일자 '활자의 나라 조선' 전시전  기사 참고).여섯째, 조선말기까지 이들 실록이 완전하게 보존되어온 것도 세계적으로 유례를 보기 힘든 일이다. 선왕의 실록편찬사업이 끝나면 최종원고 4부를 인쇄하여 서울의 춘추관과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전국 각지 깊은 산중에 소재하던 사고(史庫)에 보관하여 왔다.끝으로, 조선왕조실록은 일본, 중국, 몽고 등 동아시아 제국의 역사연구, 관계사 연구에도 귀중한 기본자료로써 세계역사 학계에서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