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용·황창규·진대제 등 과학계·ICT업계 전문가들 물망
[매일일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전폭적인 후원을 바탕으로 거대 공룡 부처로 출범하는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의 초대 수장에 누가 오를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부총리 부서이자 경제 선임 부처인 기획재정부에 버금가는 막강한 권한이 부여됐지만 신설 부처인 만큼 조직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질적인 부처에서 모인 직원의 화학적 결합을 조기에 이뤄내기 위해서는 장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박근혜 당선인이 대선 기간 “미래 대한민국의 경제를 이끌어갈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으로 창조경제론을 제안한다”며 대표 공약으로 제시한 데 따른 결과물이다.특히 과학기술계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중심으로 한 산업계를 아우를 수 있는 식견과 함께 창조경제를 주도할 컨트롤타워로서 타 부처의 협력도 이끌어낼 수 있는 행정력을 갖춘 인물이 선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미래부는 차기 정부의 과학과 ICT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인 만큼 과학계와 ICT업계의 전문가들이 장관으로 물망에 오르고 있다. 박 당선인과 인수위는 과학과 ICT를 아우를 수 있는 융합형 인사를 물색중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쉽지 않은 모습이다. 과학과 ICT 산업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전문가가 예상외로 부족하기 때문이다.박 당선인은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산업과 IT기술의 융·복합을 꼽는다. 따라서 미래창조과학부의 초대 수장으로는 정치인보다는 전문가 출신 인사가 기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안팎에서는 우선 윤종용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장과 황창규 지식경제부 국가연구개발 전략기획단장과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거론된다.삼성전자 부회장을 역임하며 국제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 윤 위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을 목표로 하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사장을 맡고 있다. DGIST가 박 당선인의 지역구였던 달성군에 자리한 인연도 있다.특히 윤 회장은 삼성전자 부회장과 한국공학한림원장,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미래과학부의 양대 축인 과학기술과 ICT 전반에 대해 해박한데다 과학기술계의 지지도 받고 있어 적임자로 꼽힌다. 과학기술계가 2년 전 국과위 초대 위원장 선임 때와 마찬가지로 윤 회장을 강력 추천하고 있지만 정작 본인이 고사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나온다.삼성전자 기술총괄 사장을 지낸 황 단장은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화가 미래에 국가의 도약을 이끌 수 있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해왔다.황 단장이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인 최경환 장관이 지식경제부 장관 시절 영입한 인사라는 점도 발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소가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서울대는 최근 황 단장을 사회학과 초빙 교수로 임용하려 했지만 삼성전자 사장 전력을 문제삼은 학생들의 반발이 커지자 임용을 백지화한 바 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