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건국대, 실리콘 광 집적 회로 새기술 개발
상태바
고려대·건국대, 실리콘 광 집적 회로 새기술 개발
  • 안광석 기자
  • 승인 2024.09.24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낮은 전력으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 동작
세계 최초로 낮은 전력으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집적형 연속파 실리콘 나노레이저를 구현한 고려대와 건국대 공동연구팀. 왼쪽부터 김명기 고려대 교수(교신저자), 노유신 건국대 교수(교신저자), 박병준(제1저자), 김민우(제1저자). 사진=고려대학교 제공
세계 최초로 낮은 전력으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집적형 연속파 실리콘 나노레이저를 구현한 고려대와 건국대 공동연구팀. 왼쪽부터 김명기 고려대 교수(교신저자), 노유신 건국대 교수(교신저자), 박병준(제1저자), 김민우(제1저자). 사진=고려대학교 제공

매일일보 = 안광석 기자  |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 공동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낮은 전력으로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집적형 연속파 실리콘 나노레이저를 구현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즈’에 지난 19일자로 게재됐다.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정보처리 분야에서도 에너지 효율이 중요해졌다. 이에 작은 면적에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이 등장했고, 전자를 이용하는 대신 빛을 활용하는 실리콘 기반 광 집적회로가 개발됐다. 다만 전기 및 광 집적회로(IC)의 주요 소재로 사용되는 실리콘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빛을 생성하는 Ⅲ-Ⅴ 반도체와 실리콘을 결합하는 방식이 시도됐지만, 불안정하고 비효율적이며 광 집속 문제가 발생한다. 김명기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와 노유신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 공동 연구진은 나노 공진기에 Ⅲ-Ⅴ 반도체를 정밀하게 이식하는 신개념 ‘On-Demand Minimal-Gain Printing’ 기법을 개발해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진은 레이저 발진에 필요한 발광 이득 물질을 최소한으로 이식한 후 실리콘 회로 내부에서 레이저 증폭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Ⅲ-Ⅴ 반도체 물질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기존 나노레이저에 비해 훨씬 높은 안전성과 낮은 발진 임계값을 달성했다. 또한 이 기법을 활용해 상온에서 50μW 이하의 낮은 전력으로도 동작하는 집적형 연속파 실리콘 나노레이저를 구현했다. 김 교수는 “이 기술은 차세대 광통신과 고성능 광 집적회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레이저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집적 소자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