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D 평가선 29위로 4단계 하락…WB는 세계 4위로
[매일일보 송현섭 기자] 최근 해외 평가기관들이 실시한 조사에서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에 대한 평가결과가 크게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3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최근 발표한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평가대상 61개국 중 29위에 그쳐 지난해에 비해 4계단이나 하락했다.
앞서 우리나라는 2011년 IMD 국가경쟁력 지수 22위에 처음 랭크된 뒤 2014년 26위, 2015년 25위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 29위로 떨어지면서 최근 5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더욱이 지난해 9월 발표된 세계경제포럼(WEF)의 금융시장 성숙도 순위는 87위로 경제대국의 이름에 걸맞지 않게 하위권을 맴돌고 있을 정도다.그러나 세계은행(WB)이 지난해 조사한 기업환경평가에선 세계 4위로 역대 최고의 순위를 기록, 지난 2007년 29위에 랭크된 뒤 매년 순위가 상승하고 있다.
특히 국가경쟁력 지표를 조사·발표하는 이들 기관의 평가결과가 제각기 다른 이유는 평가방법과 비중의 차이 때문이란 것이 정부와 학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WEF와 IMD는 정부와 교육·노동·금융 등 부문별 국가경쟁력을 전체적으로 평가하며 WB의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는 주로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에 포커스를 맞춰 순위가 매겨진다.또한 설문조사 비중이 클 경우 우리나라가 낮은 점수를 받고 있지만 통계조사를 위주로 하는 평가에선 높은 성적을 받고 있는데, WEF는 설문조사 비중이 70%이고 물가상승률·저축률 등 각종 거시지표와 통계가 반영되는 비율이 30%에 그치고 있다는 점에서 극명히 드러난다.설문조사 대상도 대기업 CEO 50명과 중소기업 50명 등 100명으로 한정돼 객관적인 판단보다 이들 답변자의 생각에 따라 순위가 정해진다.IMD 국가경쟁력 지수 역시 객관적 통계자료를 54% 반영하고 설문이 46%의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WB 기업환경평가는 거시통계와 법령 등 객관적 수치만 기준으로 평가된다.기재부 관계자는 “IMD 지수는 WB 평가에 비해 분야가 포괄적이지만 방법상 설문조사의 비중이 높아서 조사당시 사회·경제적 여건과 분위기에 평가가 좌우된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