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내가 하는 일과 맞서고 나아가 세상과 맞서는 일은 누구에게나 주어진 힘든 삶의 여정이다. 기행과 파격의 대명사인 이외수 작가는 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최근 필자는 그 힘든 여정을 이겨내는 비법을 그에게 직접 듣는 기회를 가졌다.이외수 작가를 만난 곳은 춘천시내의 어느 ‘표구집’이다. 대한민국에서 그를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그가 글이 아닌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다. 전시 기획차 만났으니 자연스레 그림에 대한 작품관을 그에게 묻게 됐다. 그는 대학교 1학년 시절부터 나무젓가락과 성냥개비로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썼다고 한다. 특히 글보다도 그림을 자주 그렸다고 한다. 그리는 것이 너무 좋았고 당시 공모전에서도 꾸준히 입상했다고 한다.그런데 그림은 돈이 많이 든다. 열심히 그릴수록 재료가 빨리 떨어지니 견뎌낼 수 없었다. 그래서 72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소설이 당선되자 소설가의 길을 택하게 됐다. 이후 그는 개성적 넘치는 문체로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그가 대한민국 청년을 위해 이야기한 ‘존버정신’은 신조어가 되었고, 거침없이 던진 말 한마디로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하지만 그는 그림을 자신의 인생에서 놓지 않았다. 글을 쓰면서 세상과 맞서는 틈틈이 그림을 그렸다. 그림을 그리는 작업은 그에게 일종의 수양이었다. 그 수양을 위해 그는 캔버스 물감작업에서 ‘먹’으로 전향했다고 한다. “화선지에 젖어 들어가는 먹 작업은 서양화와 엄청난 정서의 차이를 느끼게 합니다. 액운을 물리치는 주술적 힘도 갖고 있는 먹은 인간의 정신을 가장 잘 반영하는 물질입니다. 그래서 정신적 에너지 영적에너지를 쏟아 부으려고 노력합니다. 완성될 때마다의 성취감은 어떠한 재료보다 큽니다. 먹과 붓과 내가 하나가 될 때 무념무상 혼연일체가 됩니다.”그는 중광스님과 먹 공부를 했고, 무형문화재 박경수가 매는 붓을 쓴다. “박경수 선생님이 매어 주신 닭털로 만든 붓을 사용했을 적에는 성격이 못되어 먹어 어금니 네 개가 빠졌습니다. 화가 올라와서요. 쉽게 말을 듣지도 않지만 8시간동안 갈아낸 먹이 조류의 깃털에 붙어 화선지에 닿으면 일획에 동납니다.” 혼연일체라는 말은 그냥 나올 수 없다. 그는 재료와 도구와 싸우며 ‘합’이라는 것을 터득했다.설 연휴가 끝나면 기획중인 그룹 전시가 열린다. 3명의 작가가 참여하는 전시명 ‘동행’에 대한 그의 생각을 물었다. 그는 “걸음이 느린 사람과는 같이 갈 수 있어도, 목적지가 다른 사람과는 같이 갈 수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