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준비와 금융투자로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는 등 은퇴자산 구축 제언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우리나라가 2저(低)1고(高)로 불리는 저성장, 저금리, 고령화 시대에 직면한 가운데 일본처럼 디플레 함정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가계 자산구성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투자자산은 올리고 부동산은 축소하는 등 조절을 통해 가계자산이 성장할 토대를 만들고, 연금 준비와 금융투자로 금융자산 비중을 늘리는 등 은퇴자산을 구축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미래에셋은퇴연구소는 5일 일본 사례를 통해 가계자산 운용해법을 모색한 ‘넥스트 20년, 내 자산 어디에 둘까 - 일본의 과거 20년이 주는 교훈’을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는 1990년대 중반 일본이 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디플레이션 함정에 빠져 버블 붕괴의 트라우마와 고령화로 인해 가계의 상당 부분이 안전자산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저성장과 자산시장 침체 속에 일본 가계는 20년 동안 부를 증식하지 못했고, 현재 가계 총자산 규모도 버블기 정점 수준과 큰 차이가 없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연구소는 우리도 일본처럼 뚜렷한 디플레 함정에 빠지기 전에 선제적으로 가계 자산구성의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따라 배당 등 인컴 수익률이 높은 자산에 투자해 금리 이상의 수익률로 안정된 소득을 얻고, 장기투자 방식으로 자산을 증식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일본 가계도 2000년대 중반부터 고배당주펀드, 리츠 등 인컴형 자산 비중을 늘려, 초저금리 상황에서 자산증식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밖에 투자지역을 국내로 한정하지 말고 과거 일본 가계의 행동을 참고해 더 적극적인 방식으로 글로벌 분산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영호 연금연구센터장은 “고령화, 저성장 사회에서 일본과 같은 시련을 겪지 않으려면 자산을 젊게 만들어야 한다”며 “부동산 보유비중을 줄이고, 인컴형 자산, 글로벌 자산을 중심으로 금융투자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자산을 젊게 하는 지름길이다”고 했다. 한편 이번 은퇴 리포트는 미래에셋은퇴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전자책 형태로 무료 배포한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