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김경렬 기자] 저축은행, 카드사 등 제2금융권들이 대출문을 좁히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와 최근 불어 닥친 PF발 투자심리 위축 영향이다.
20일 저축은행중앙에 따르면 개인신용대출 3억원 이상 취급한 저축은행 중 신용점수 600점 이하 차주에게 대출을 내주지 않은 저축은행은 8월 말 11곳을 기록했다. 1분기 말에 비하면 7곳 늘어난 수준이다. 이 기간 신용대출 취급 중단 저축은행 역시 44곳에서 46곳으로 늘어났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권의 대출 총량 규제가 지난해 21%에서 올해 14%로 강화됐고,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조달비용이 올라 저신용자 비중을 축소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인해 예‧적금 금리 등 조달 비용이 올라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저신용자 비중을 축소하는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대출 문턱 상향 시그널을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신협중앙회는 전국 조합을 대상으로 오는 21일부터 연말까지 집단대출 신규 취급을 중단키로 했다. 집단대출 심사는 시행일 이전 접수 건까지 진행한다. 집단대출은 아파트 신규 분양이나 재건축·재개발 입주 예정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사 없이 일괄 처리한다. 신협 측은 “가파른 금리 인상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대출 부실이 확산될 가능성에 대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대출 문턱 조정 이유가 PF대출 때문이라는 말들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도별 부동산PF 대출 현황’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부동산PF는 26조8833억에 이른다. 이같은 수치는 4년 6개월 만에 3배 이상 늘었다. 2018년 8조4494억원, 2019년 10조9327억원, 2020년 14조1577억원, 2021년 19조7277억원으로 연속 증가한 결과다.
부동산PF 대출의 연체잔액과 연체율은 동반 상승하고 있다. 올 상반기까지 여전사의 연체잔액은 2289억원, 평균 연체율은 0.9%를 기록했다. 2019년(연체금액 150억원, 연체율 0.1%) 대비 연체금액은 6배 이상, 연체율은 9배 늘어난 수준이다. 재무 건전성에 경고등이 들어온 셈이다.
앞서 지난 13일 이경자 삼성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발에 참여한 금융사들에 대해 시황에 따라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