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생산성 증가율 6.1%서 0.5%로 추락
“출생율 반등·혁신 없으면 2040년 마이너스 성장”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초저출생·고령화에 이어 생산성 증가율이 0%대까지 추락하면서 혁신을 통한 생산성 개선이 없다면 10여년 뒤 한국 경제가 퇴보하기 시작할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침몰하는 경제를 구하고 혁신에 성공하기 위해선 기업의 기초연구 지출을 늘리고 자금조달·창업가 육성 체계 등 대거 고쳐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 경제연구원은 10일 공식 블로그에 올린 ‘연구·개발(R&D) 세계 2위 우리나라, 생산성은 제자리’ 보고서에서 “출산율의 극적 반등, 생산성의 큰 폭 개선 등 획기적 변화가 없을 경우 우리 경제는 2040년대 마이너스(-) 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요한 원인은 총인구(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기준)가 2020년(5184만명)을 정점으로 2040년 5006만명, 2070년엔 3718만명까지 줄어들기 때문이지만, 한은은 초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성장잠재력 훼손을 만회할만한 경제 전반의 혁신마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R&D 지출 규모(2022년 기준 GDP의 4.1%)와 미국 내 특허출원 건수(2020년 기준 국가별 비중 7.6%)의 세계 순위는 각 2위, 4위에 이르지만, 한은 분석 결과 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2001∼2010년 연평균 6.1%에서 2011∼2020년 0.5%까지 크게 낮아졌다. 특히, 미국에 특허를 출원할 정도로 좋은 혁신 실적을 거둔 ‘혁신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이 같은 기간 연 평균 8.2%에서 1.3%로 추락했다.
생산성 성장세가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는 것은 우선 대기업을 중심으로 혁신 실적의 ‘양’은 늘은 반면 ‘질’은 오히려 떨어졌기 때문이다.
대기업(종업원 수 상위 5% 기업)은 R&D 지출 증가를 주도하고 특허출원 건수도 크게 늘렸지만, 생산성과 직결된 특허 피인용 건수 등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눈에 띄게 감소해 이전 추세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은 혁신자금 조달이 어려운 데다 잠재력을 갖춘 신생기업의 진입도 줄면서 가팔랐던 생산성 증가세가 꺾였다.
이처럼 한국 기업의 혁신의 질이 떨어진 데는 기초연구 지출 비중이 축소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응용연구는 혁신 실적의 양을 늘리는데 효과적이라면, 기초연구는 혁신의 질과 밀접하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기초연구 지출 비중은 오히려 2010년 14%에서 2021년 11%로 줄었다.
한은 경제연구원은 “구조모형을 이용해 정책 시나리오별 효과를 추산한 결과, 연구비 지원과 산학협력 확대 등으로 기초 연구가 강화되면 경제성장률은 0.18%포인트 높아질 수 있다”며 “자금공급 여건 개선과 신생기업 진입 확대로 혁신기업 육성이 진전돼도 성장률이 0.07%포인트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실패에 따른 위험을 줄여주고 고수익·위험 혁신 활동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똑똑한 이단아의 창업 도전을 격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