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중산층 의식이 약화되고 있다. 불경기에 내핍생활도 확산되고 있다.현대경제연구원은 19일 '중산층의 자신감이 무너지고 있다'는 제목의 경제주평을 통해 이같이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중산층 비중은 1998년 69.6%, 2006년 64.6%, 2011년 64%로 계속적으로 감소했다. 도시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중산층 비중이 75.4%에 달했던 1990년에 비해 11.4%나 격감했다.소득분배를 보여주는 지니계수는 2009년 0.314에서 2011년에는 0.311, 5분위배율은 5.75에서 5.73로 떨어졌다.이에따라 국민들의 주관적인 중산층 의식과 생활 양식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내외 경제 침체로 소득분배 관련 지표들이 나빠지면서 국민들의 의식도 위축됐다"고 설명했다.이는 설문조사에서도 입증됐다.20세 이상 성인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25일부터 8월1일까지 2012년 금융위기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계층 의식변화에 대한 전화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금융위기때는 '이전이나 지금이나 중산층'이란 대답이 42.8%, 위환위기 때는 32.7%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에는 상층, 지금은 중산층'이란 응답은 3.6%, 2.1%, '이전에는 중산층, 지금은 저소득층'이란 답은 15.5%, 20.4%로 각각 집계됐다.특히 50대 이상 블루칼라, 자영업자, 농림어업종사자, 읍면지역, 저소득계층, 영호남지역에서 중산층 귀속의식이 낮았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50대 이상 중고령층은 은퇴를 전후한 불안감과 소득감소로 주관적 중산층 귀속의식이 가장 낮았고 저소득층이라는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계층이 하락한 이유(복수 응답)로는 32.7%가 '소득 감소', 17.6% '부채 증가', 14.3% '불안정한 일자리', 13.5% '과도한 자녀교육비', 11.8% '재산가치 하락', 5.3% '실직', 4.9% '주거비 부담'을 꼽았다.연령별로는 20대가 불안정한 일자리(33.3%), 실직(7.4%) 등 일자리 관련 응답을 가장 많이 해 청년실업의 심각성을 드러냈다.
또한 30대는 대출이자 등 부채증가라는 응답이 22.2%로 전체평균 17.6%를 상회했고 40대는 '과도한 자녀교육비'(24.4%), 50대 이상은 '소득감소'(37.4%)를 저소득의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더 큰 문제는 향후 '계층 상승이 갈수록 어려워질 것'이라고 대답한 점. 응답자중 무려 98.1%가 부정적으로 전망했다.계층상승이 어려울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를 대상으로 이유를 물은 결과(복수 응답) ‘양극화 진행’이란 답이 36.3%로 가장 많았고 ‘계속되는 체감경기 부진’(21.5%), ‘좋은 일자리 부족’(12.1%), ‘과도한 부채’(11.4%), ‘불공정한 기회’(9.0%), ‘노후준비 부족’(6.4%), ‘좋은 교육 못 받아’(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중산층 확대를 위한 정책적 과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3.2%가 '물가 안정', 19.7%가 '일자리 창출'을 꼽았고 ‘주택시장 안정과 주거비 지원'(15.4%), ‘국내경기 활성화’(14.8%), ‘사교육부담 완화’(12.2%) 등이 뒤를 이었다.4인 가족 기준 중산층의 월평균 소득으로 494만6000원이 추정됐다. 500만원 이상의 구간을 적어낸 응답자는 '57.0%'로 나타났으며 400만~499만원은 21.5%, 300만~399만원은 18.1%, 200만~299만원은 3.4%로 나타났다. 1998년 중산층 월평균 소득은 248만5900원이었다.국민들의 내핍생활도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들의 절반가량인 47.9%가 '할인쿠폰과 마일리지 등 알뜰소비'를 늘렸다고 답했고 20대는 55.7%, 30대는 54.5%로 타 연령에 비해 응답률이 높았다.외식도 감소했다. 응답자의 60.6%는 외식을 이전보다 줄였다고 답했고 이같은 비중은 40~50대가 두드러졌다.이사를 고려하고 있다는 답은 4명중 1명꼴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5.6%는 '집 크기를 줄이거나 싼 집으로 이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해 1998년 외환위기 당시의 9.2%보다 3배 가량 높았다. 보고서는 "현재의 체감경기가 외환위기 못지 않게 어려운 수준"이라고 지적했다.적금·보험 해약했다는 국민들의 비중도 높았다. 응답자의 29.3%가 해약했다고 답해 저축을 줄이는 방식으로 급한 불부터 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아울러 응답자의 52.5%는 대중교통을 늘렸다고 답했고 34.2%는 자녀의 교육비를 줄였다고 밝혔다. 이밖에 국민 10명중 1명은 귀농을 고려했고 특히 50대 이상은 20.1%에 달했다.
김동열 수석연구위원은 "중산층을 튼튼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물가안정과 일자리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정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0대는 물가안정과 일자리 창출, 30대는 주거안정과 가계부채 연착륙 등 세대별 맞춤형 대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