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첫 해외 특사단 파견 목적지가 중국으로 결정된 것에 정치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새 정부 외교정책이 이명박정부의 미국편향에서 벗어나 참여정부 시절의 ‘동북아 중심국가’론과 ‘주변 4강(미·중·러·일) 균형외교’ 정책이 복원될지 관심을 끌고 있어서다.박근혜 당선에 ‘1등 공신’으로 불리는 김무성 전 새누리당 선대위 총괄본부장을 단장으로, 심 윤조·조원진 의원, 한석희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 등 4명이 참가하는 당선인특사단은 22일부터 24일까지 중국을 찾아 시진핑(習近平) 공산당 총서기 등 중국 국가지도부를 만난다.이번 특사 파견은 지난 10일 박근혜 당선인을 예방한 장즈쥔(張志軍) 중국 정부 특사의 파견 요청에 따라 한중간 협의를 거쳐 이뤄진 것으로, 시진핑 총서기에게 박 당선인의 친서를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박선규 당선인 대변인은 특사 파견에 대해 16일 “한중간 우호관계를 확인하고 격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서 최대 경제파트너인 중국과의 관계 발전을 기원하는 이야기가 오갈 수 있다”며,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서 안보문제를 포함해 여러 논의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한중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중국을 중시하는 행보를 보여온 박 당선인은 대선 외교공약에서 한미관계는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강화하는 한편 중국과의 관계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에 걸맞게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꼽은 바 있다.
우리나라의 대외정책에 있어 수교 20주년을 맞이한 중국이 갖는 중요성은 그 어느 나라보다 크다. 경제부문에서는 최대 무역대상국으로 부상한지 오래고, 안보문제에 있어 최대 이슈인 북한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가진 유일한 국가라는 점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그 때문에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균형외교’를 펼치려 노력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과 달리 ‘ABR(Anything But Rho: 노무현이 한 일이라면 뭐든 뒤집는다)’이 국정철학인 것처럼 행동했던 이명박정부는 대미 편향외교로 국익에 막심한 피해를 입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남북간 대화채널이 전부 끊기다시피 한 상황에서 중국과의 관계도 서먹서먹해지게 만든 것은 대한민국 정부의 대북 정책을 아무런 정보가 없는 깜깜이 상태에서 결정하게 만든 중대 외교실책으로 비판받았다.앞서 지난 10일 중국 정부특사 장즈쥔(張志軍) 외교부 상무부부장의 예방을 받은 박 당선인이 “양국의 새 정부가 북핵 문제 및 한반도 평화·안전 문제에 대해 긴밀히 협력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한 것도 이명박정부의 대외정책 실패에 대한 인식이 바탕에 깔린 것으로 보인다.한중 양국이 공조해 북한에 대한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한 박 당선인의 이날 발언은 차기 정부가 중국과의 관계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협력과 공조에 무게를 둘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장 특사를 통해 전달한 친서에서 시진핑 총서기는 “중국은 한국의 국제사회에서의 역할을 중시하고 있다”며, “두 나라가 과거를 계승하고 미래를 개척하는데 공동으로 노력해 전략적 협력동반자관계를 심화 발전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고, 박 당선인의 조속한 중국 방문을 희망한다는 의사도 표명했다.